웨딩박람회 정보

결혼식 준비비용, 현실적으로 얼마가 필요할까?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결혼은 단순한 행사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평생의 동반자와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는 출발점이기에, 준비 과정에서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하죠. 하지만 구체적으로 얼마 정도가 필요한지 감이 오지 않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비부부들이 실제로 부담하게 되는 결혼 준비비용 항목별 평균 금액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결혼 준비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지출 항목
결혼을 준비할 때 필요한 비용은 크게 다음과 같은 6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신혼집 마련 비용 (매입 또는 전세자금)
혼수 구입 비용 (가구·가전 등 신혼집 필수품)
예식 비용 (웨딩홀, 식대, 부대비용)
예물·예단 비용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비용
신혼여행 경비

아래에서 각 항목별로 평균 금액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1 신혼집 마련 비용

결혼 준비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바로 주거 마련입니다.
2023년 기준 신혼부부의 평균 주택 구입 혹은 전세 비용은 약 2억 7,900만 원대로 조사되었습니다.
지역, 주택 형태(아파트/빌라/오피스텔)에 따라 수천만 원 이상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1.2 혼수 구입 비용

가구·가전 등 신혼집 인테리어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혼수 예산은 평균 약 1,570만 원 수준입니다.
가전 브랜드 선택이나 패키지 구성에 따라 예산이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온라인 공동구매를 활용하면 20~30% 절감도 가능합니다.

1.3 예식 비용

웨딩홀 대관료, 식사비용, 폐백실 등 부대비를 포함한 평균 예식 비용은 약 1,050만 원 정도입니다.
다만, 서울·수도권은 이보다 훨씬 높은 평균 1,500만 원 이상으로 조사된 경우도 있습니다.
하객 수를 줄이거나, 평일 예식을 선택하면 비용을 낮출 수 있습니다.

1.4 예물 및 예단 비용

예물(반지, 시계 등)에는 평균 약 670만 원, 예단에는 약 750만 원이 소요됩니다.
최근에는 ‘실속 예물’ 트렌드로 300만 원 이하의 간소한 세트만 준비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1.5 스드메 비용

웨딩 촬영, 드레스, 메이크업을 포함한 스드메 패키지는 평균 약 360만 원입니다.
패키지 할인, 평일 촬영, 지방 스튜디오 이용 등을 활용하면 절감 폭이 큽니다.

1.6 신혼여행 비용

평균 신혼여행 예산은 약 720만 원 수준입니다.
하와이·몰디브 같은 장거리 여행은 1,000만 원 이상이지만, 근거리 휴양지나 국내 여행을 선택하면 절반 이하로도 가능합니다.

2. 전체 결혼 준비비용 평균

위 항목들을 종합하면, 신혼집을 제외한 결혼 준비 총비용은 평균 약 6,300만 원 수준입니다.
이는 예비부부에게 결코 가볍지 않은 금액이며, 결혼 후 자금 계획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3. 예비부부를 위한 비용 절감 팁
✅ 3.1 스몰웨딩으로 합리적으로

최근 10쌍 중 9쌍이 ‘작은 결혼식’에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고 있으며,
평균 예산은 약 750만 원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하객 수를 줄이고 장소를 단순화하면 예식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3.2 불필요한 절차는 과감히 생략

약혼식이나 예물·예단 교환을 필수로 생각하지 않는 커플이 늘고 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약혼식이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은 7%, 예단은 10%에 불과했습니다.

✅ 3.3 비용 분담으로 부담 줄이기

결혼식과 신혼여행 비용을 남녀가 공동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93%, 91%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비율을 조정해 현실적인 자금 계획을 세우면 개인 부담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4. 마무리하며

결혼식 비용은 개인의 가치관과 생활 수준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무리한 예산보다는 우선순위를 명확히 정해 예산을 배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실적인 계획과 절약 전략을 세워, 경제적 부담 없이 행복한 결혼을 준비해보세요.

http://xn--3e0bs0mn2bx4g29pwrbfy2c.co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